Seoul
Andrew Yim
"유인원은 유인원을 죽이지 않는다"는 절대적 명제를 이상으로 걸었던 시저가 혁명을 함께한 코바의 손을 놓아야만 했을 때, 그의 고뇌와 분노, 갈등과 좌절감은 그 깊은 눈빛 보다 어두운 인간 본성의 깊은 바닥을 그대로 비추어준다.
언제나 진지하고, 좋은 사람이 되려고 애쓰지만, 그의 과도한 진지함은 그를 고통스럽게 한다. 그의 아픔은 그에게 다가갈수록 견디기 힘들고, 한 발짝씩 물 러갈수록 그의 모습은 우스워진다.
이 이야기에는 어떤 사건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의식의 흐름'이라는 기법을 구태여 흉내내려는 의도도 없지만, 이야기를 풀어놓는 주체로서의 인물은 또렷하게 상정되지 않는다. 그저 보이는 데로 이야기하고, 느끼는 데로 상상을 더하며, 제멋대로 구미를 당기는 이야기를 엮어내려 한다.
언제 어떤 차가 득달같이 달려와 옆구리를 받을지 알수가 없다. 운전대를 꽉 부여잡고 부지런히 사거리 이쪽 저쪽을 살피듯, 사람의 관계망 속에서 갈 길을 못 찾고 망설이고 있다. 뒤에 늘어선 차들이 쉴새없이 경적을 울리고 있다. 좋든 싫든 나는 이 사거리를 지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