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도(訓導)'는 두 세대를 걸쳐서도 여전히 유령처럼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
이 시대를 살아온다는게 후대인의 눈으로는 어떤 삶일지 짐작조차 안되지만, 그들이 식민지 세계의 질서와 길들여저버린 지배자의 세계관을 여전히 중개하고 지켜내는 구세계의 감시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똑똑히 살펴봐야 한다.
이 시대를 살아온다는게 후대인의 눈으로는 어떤 삶일지 짐작조차 안되지만, 그들이 식민지 세계의 질서와 길들여저버린 지배자의 세계관을 여전히 중개하고 지켜내는 구세계의 감시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똑똑히 살펴봐야 한다.
일제의 식민통치는 경제적 복속과 약탈적 지배를 넘어서서, 조선의 영토와 백성을 영구적으로 병합해서 그들의 이익에 복무하는 2등 시민을 만드는 것이었다.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흔적은 21세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교육에서도 여전히 잔존하고 있으며, 이는 학벌주의, 학력차별, 학교간 서열, 중앙집권적 교육정책 등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시대를 살아온다는게 후대인의 눈으로는 어떤 삶일지 짐작조차 안되지만, 그들이 식민지 세계의 질서와 길들여저버린 지배자의 세계관을 여전히 중개하고 지켜내는 구세계의 감시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똑똑히 살펴봐야 한다.
진정한 극복이란 그들을 미워하고 단죄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걸어온 참혹한 역사를 이해하고 품어안으면서 동시에, 그들의 한계와 실패, 또는 살아남으려는 발버둥 속에 알지 못하고 저지른 잘못에 대해 기록하고, 평가하고, 교훈으로 남겨두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아버지 세대에게서 벗어나 스스로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힘이 될수 있고, 우리가 완수하지 못한 과제로 인해 미래 세대가 가엾게 품고 가는 경쟁의 논리를 내려놓을 수 있게 도와야 할 의무가 있다.
이 기사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된 문제제기였다. 하지만 그 뒤로 우리 사회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버려야 할것들을 청산하고 새로운 방식을 찾아내기 위해 애썼는지 알수가 없다.
학생 인권조례로 인해 교권이 무너졌다며, 다시 체벌을 허용해야 한다는 둥, 교실에서 죽어나가는 교사의 좌절을 질서가 없는 학교의 문제로 환원시키지 않았던가? 교실의 실패를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다루고 있던가?
우리는 근대적 시민 민주주의를 완성시켰던가? 아니면 386이라는 세대가 가진 민주주의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과 자본주의적 능력주의라는 경제 시스템은 정말 우리가 고심하여 선택한 사회 체제일까? 나는 이제 이 선택아닌 선택, 혹은 운명처럼 주어진 이 진로에 대해 되짚어보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